서울공대가 선도하는 공학교육 혁신


서울공대가 선도하는 공학교육 혁신

존경하는 서울공대 교수님께,

지난 한 해 서울공대 교수님 한분 한분의 열정과 노력을 목도하면서 오히려 저는 여러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개개인의 교육적 성취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서울공대’의 혁신적 노력이 있었는지 찾아보기 어려웠기 때문이었습니다. 초일류 고등교육기관 서울공대가 새롭게 가야 할 모습 중 오늘은, 신년 서신에서 소개한 ‘서울공대 인재상 선포’와 ‘데이터 기반 공학교육 혁신’ 추진안을 공유드립니다.

대전환 시대를 선도할 서울공대만의 인재상을 만들겠습니다.

  • AI, 반도체, 로봇, 바이오, 탄소중립 등의 기술 개발 및 확산 속도는 우리의 예상을 훌쩍 뛰어넘었으며, 소위 대전환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과거의 인재상으로는 서울공대의 위상을 지킬 수 없습니다.
  • 서울공대만의 인재상을 정립하기 위해 TF를 구성하고 2024년 2학기부터 공론화를 시작하여 2025년 1월 관악캠퍼스 50주년 일환으로 ‘서울공대 인재상’을 선포하겠습니다.
  • 서울공대 내 ‘인재역량지원센터’를 신설하여 입학-학업-진로까지 인재상 실현을 전담토록 추진하겠습니다. 이 센터에서는 서울공대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키우는 비교과 활동 및 행사는 물론 학습 카운슬링과 심리 및 진로 상담 등을 원스톱으로 연결합니다.

공학교육혁신센터는 변화된 시대에 맞게 ‘혁신’을 실행할 것입니다.

  • 공학교육혁신센터를 1) 교과과정기획팀 2) 학습기술지원팀으로 확대 개편하고 각 팀에 공학교육 전문위원을 채용하고자 합니다.
  • 교육과정기획팀에서는 비효율적으로 나열된 50 여개 공대 공통교과목을 현실에 맞게 개편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겠습니다. 특히 모듈화 등을 도입하여 공학수학 및 ABM(AI, Big Data, Machine Learning)과 같은 공학기초 공통교과목을 혁신적으로 개편하여 학부학과 자체 강의의 부담을 대폭 완화하겠습니다.
  • 학습기술지원팀에서는 ‘(가칭)Adaptive Learning System’을 도입하여 공학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강의 자료를 축적하고 Big Data 분석을 통해 학생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향후 서울공대 대표 브랜드로 성장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2023년 11월 1일부터 시작하여 오늘까지 총 6회에 이른 제 발전계획 이메일을 이제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이 발전계획에 담긴 다양한 아이디어와 실행계획들은 모두 서울공대 교수님들 한분 한분의 소중한 의견으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실행에 초점을 맞춘 제 발전계획이 서울공대의 ‘Future Engine’이 되어 미래 서울공대 학장단의 동력이 되길 기원합니다.

저는 오늘 또다시 한분 한분의 서울공대 교수님의 목소리를 경청하러 나섭니다. 2024년 우리 서울공대의 새로운 희망 모음에 교수님들의 지속적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공대 건설환경공학부 김영오 드림